본문 바로가기
생활교양/문화

오복 십장생

by 眞草 권영수 2013. 2. 5.

 

현대판 신오복

Category: 미래, Tag:
01/11/2011 06:12 pm

서경(書經)의 5복(五福)
옛날부터 사람이 살아가면서 바람직하다고 여겨지는 다섯 가지의 복을 5복(五福)이라고 했는데, 중국 유교의 5대 경전 중 하나인 '서경(書經) 1편인 '홍범(洪範)'에 나오는 오복(五福)

1.수(壽)로 천수(天壽)를 다 누리다가 가는 장수(長壽)의 복(福)
2,부(富)로,살아 가는데 불편하지 않을 만큼의 풍요로운 부(富)의 복(福)
3.강령(康寧)으로,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깨끗한 상태에서 편안하게 사는 복(福)
4.유호덕(攸好德)으로 남에게 많은 것을 베풀고 돕는 선행과 덕을 쌓는 복(福)
5.고종명(考終命)으로 일생을 건강하게 살다가 고통없이 평안하게 생을 마칠 수 있는 죽음의 복(福)

사람들이 이처럼 큰 행복으로 여겼던 이 5복(五福)을 염원하기 위해 새 집을 지으면서 상량(上梁)을 할 때는 대들보 밑에다가 '하늘의 3 가지 빛에 응하여 인간 세계엔 5복을 갖춘다.'는 뜻의 '응천상지삼광(應天上之三光) 비인간지5복(備人間之五福)'이라는 글귀를 써 넣기도 했답니다.

現代人의 五福 - 현대판 신오복
1. 건강한 몸을 가지는 복
2. 서로 아끼면서 지내는 배우자를 가지는 복
3. 자식에게 손을 안 벌려도 될 만큼의 재산을 가지는 복
4. 생활의 리듬과 삶의 보람을 가질 수 있는 적당한 일거리를 갖는 복
5. 나를 알아주는 참된 친구를 가지는 복

서민들이 원했던 또 다른 5복(五福)
1. 치아가 좋은 복
2. 자손이 많은 복
3. 부부가 해로하는 것
4. 손님을 대접할 만한 재산이 있는 복
5. 명당에 묻히는 복

사람들이 바라는 5복(五福)을 곰곰이 살펴보면 옛날이나 현대나 살고 있는 계층을 막론하고 다 비슷한 것 같습니다. 옛날판 5복이든 현대판 5복이든 상관없이 그저 풍요로운 5복(五福) 누을 누리자.

우리나라에서는 四書三經 중에 書經(洪範編)에 있는 오복을 기본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1, 수(壽) : 오래 사는 것.
이것은 세계 모든 사람의 공통된 염원입니다.
2, 부(富) : 富者가 되는 것.
살아가는데 불편하지 않을 만큼의 재산은 꼭 필요하지요.
3, 강녕(康寧) : 健康한 것
康은 육체적건강을 뜻하고, 寧은 정신적 건강입니다.
4, 유호덕(攸好德) : 남에게 선행을 베풀어 덕을 쌓는 것.
놀부처럼 자기만 아는 부자는 진정한 복이 아닙니다.
5, 고종명(考終命) : 天壽를 다 하는 것.
죽음복을 잘 타고 나야 합니다. 질병없이 살다가
고통없이 편안하게 일생을 마치는 것이 큰 복입니다.


그런가 하면 중국 濟衆新編에는 五福이 이렇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1, 壽 : 장수 하는 것
2, 美心術 : 고운 마음씨를 타고나는 것
3, 好讀書 : 공부를 많이 하는 것
4, 家庭 : 집안에 재산이 있을 것
5, 行世 : 사람된 도리를 다하는 것


또, 중국 翟顯의 通俗編에 있는 五福은 이렇습니다.
1, 壽...오래 사는 것
2, 富...재산이 많은 것
3, 貴...귀한 신분이 되는 것
4, 康寧...몸과 마음이 편안한 것
5, 子孫衆多...자손을 많이 두는 것


우리나라 常人階層에서 口傳되어온 五福은 두 가지로서 그 중 한 가지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자손이 많아야 하고,
2, 齒牙가 좋아야 하고
3, 부부간 해로를 해야 하고,
4, 客을 접대할 수 있는 정도의 재산이 있어야 하고,
5, 죽은 후 명당에 묻혀야 한다.


常人階層에서 口傳되어온 또 하나의 五福은 이렇습니다.
1, 長壽 하는 것
2, 富者 되는 것
3, 健康한 것
4, 子孫이 많은 것
5, 齒牙가 튼튼한 것


모 잡지사에서 조사한 現代人이 바라는 五福은 이렇습니다.
1, 建康...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게 되므로,
2, 配偶者...좋은 배우자를 만나 해로 하는 것.
3, 財力...생활에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재산이 있는 것
4. 事(직업)...매일 일정한 할 일이 있어야 하는 것
5, 朋...주위에 친구가 많을 것

 

십장생

장생불사한다는 열가지 사물 곧 해, 산, 물, 돌, 구름, 소나무, 불로초, 거북, 학, 달을 말한다.

동양의 관념에서 가장 강하게 반영되고 있는 장생사상입니다.

동양사상에서 십이란 숫자는 여러가지 깊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곧 '십'이란 모든 숫자를 갖추는 기본입니다.

그러므로 '십'이란 숫자는 사방, 중앙이 모두 갖추어짐을 뜻하며 완전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장생도나 문양은 이미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운학, 산수 등이 그려졌고, 그후 고려자기에서도 장생신앙이 성행되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해, 산, 물, 돌, 구름 등은 자연 그대로 영원히 존재하는 사물이어서 고대부터 왕가의 상징물이었습니다. 또 소나무는 사철 푸르름을 간직하고 있고, 노송은 오래산 소나무로 장수의 상징입니다.

거북은 옛날부터 만년을 사는 동물로 알려졌고, 학 또한 천년을 산다는 선금입니다. 사슴은 사슴록자가 벼슬록과 같은 발음을 내므로 복록을 뜻하였습니다.

사슴은 아름다운 자태와 부드러운 성품으로 성스러운 동물로 간주했습니다.

그들은 항상 무리지어 다니며 다른 장소로 옮길 때마다 혹시 낙오한 무리가 있는지 머리를 들고 주위를 살핍니다.

사슴이 해, 산, 물, 소나무, 거북, 바위, 학, 달(혹은 구름), 불로초(통틀어 十長生이라함)과 같이 그려져 있으면 장수를 뜻합니다.

東洋에서 거북은 학과 함께 가장 오래 사는 동물로 알려져 있다. 사계절 푸르른 소나무,휘지 않고 푸르른 常綠樹인 대나무, 그밖에 自然의 基本 要素이자 人間의 壽命長壽에 가장 重要한 影向을 미치는 吉祥들인 해와 달, 구름과 물, 바위를 十長生으로 꼽는다.

十長生은 韓國人의 土俗 自然物 崇拜思想을 바탕으로 하면서 中國의 神仙思想을 收容해 이루어진 것으로 原始信仰과 깊은 關係가 있다.

高麗末 李穡은 〈목은집 牧隱集〉에 十長生詩를 남겨놓았으며, 朝鮮時代에 歲畵에는 十長生이 그려져 있었는데 이것을 門 위나 房 壁에 붙여놓기도 했다.

十長生 그림은 祝壽를 뜻하는 觀念的 繪畵이며, 主로 宮中用·官制用·民間用으로 製作된 作品들이 남아 있다.

'생활교양 >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뮤지컬 명성황후  (0) 2013.02.05
생활속 한자성어  (0) 2013.02.05
경춘선 낭만열차  (0) 2013.02.05
부자와 빈자 차이  (0) 2013.02.05
남자와 여자의 차이   (0) 2013.02.05